정부 외면 경북산불 피해확산 원인조사에 나서다
페이지 정보

본문
불교환경연대, 안동환경운동연합, 서울환경연합, 생명다양성재단은 부산대학교 홍석환 교수와 함께 9월 11일 오전 10시 30분 불교환경연대 그린담마홀에서 ‘경북산불 피해확산 원인조사 프로젝트’ 착수와 1차 분석결과를 알리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서울환경연합 제
전문가들이 정부가 외면한 경북산불 피해확산 원인조사에 나섰다. 1차 위성영상 분석 결과, 피해 면적은 산림청 발표보다 훨씬 넓은 11만 6천ha로 나타났다.
불교환경연대, 안동환경운동연합, 서울환경연합, 생명다양성재단은 부산대학교 홍석환 교수와 함께 9월 11일 오전 10시 30분 불교환경연대 그린담마홀에서 ‘경북산불 피해확산 원인조사 프로젝트’ 착수와 1차 분석결과를 알리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지난 3월 영남권을 덮친 초대형 산불은 31명의 사망자, 4천여 채의 주택 전소, 1조 1천억 원 이상의 재산 피해를 남기며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산불로 기록되었다. 산림청의 소나무 단순림 숲가꾸기 정책과 부실한 대응체계가 대형산불의 원인으로 지적됐지만, 정부 차원의 공식 조사와 과학적 검증은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김수동 안동환경운동연합 대표는 “산불피해 주민에 대한 지원은 터무니없이 부족한데, 산림청은 막대한 예산을 긴급벌채·임도 조성·조림 등 산림사업에 쏟아붓고 있다”며 산림청과 산림카르텔을 강하게 비판했다.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공동대표는 “산림청은 기후위기 탓만 하는데 왜 가까운 일본, 중국, 북한은 산불이 줄어드는지 설명이 안된다”며 “이번 경북 산불을 통해 소나무가 산불에 취약하다는 걸 사람들이 알게 되었는데, 정부와 국회는 산불이 대형화된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도 하지 않은 채 조림과 임도 등 산림청 예산만 늘려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해마다 산림청 예산은 늘어나는데 왜 산불은 줄어들지 않는지 의문을 가진 환경단체와 연구자들이 시민과 함께 직접 산불의 원인을 규명해서 재발방지를 위한 조사 연구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홍석환 부산대학교 교수가 연구책임을 맡고, 황정석 산불정책연구소 소장, 기경석 상지대학교 교수, 염정헌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등이 참여한다.
연구팀은 현장조사와 위성영상 분석을 통해 산불피해 확산범위와 피해강도를 규명하고, 초동 진화 실패 원인과 대응체계 문제점을 과학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특히 식생구조 현장조사를 통해 침엽수(소나무) 단순림 숲가꾸기 정책이 산불 확산과 피해를 키운 주요 원인임을 밝혀낼 예정이다.
최진우 서울환경연합 전문위원은 “이 연구는 정부가 외면한 진실을 시민사회와 전문가가 함께 밝히는 첫 걸음”이라며 “전문가의 조사에 시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 이라고 설명하고 “연구비용은 파타고니아 지구를 위한 1% 프로그램, 환경단체의 후원, 시민들의 모금으로 마련되었다”고 밝혔다
이날 홍석환 교수는 현장조사와 위성영상에 기초한 1차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산불피해 면적은 산림청의 공식발표 기록인 99,289ha보다 넓은 116,333ha로 분석됐다”고 밝히며 “산림청이 초기 발표에서 피해 규모를 4만 5천 ha로 축소했다가 이후 통계를 수정했지만 10만ha를 넘지 않으려고 축소하는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든다”고 지적했다.
또한 “수관부까지 모두 불탄 수관화 피해지는 대부분 소나무림으로 식생유형별 피해강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이는 소나무림 하부에서 자라난 미래목인 낙엽활엽수를 제거하는 산림청의 숲가꾸기 정책으로 인한 우리 숲의 식생구성 왜곡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고 강조했다. 이는 소나무 단순림이 대형산불 확산의 핵심 요인임을 뒷받침한다.
연구사업은 올해 말까지 현장조사를 진행하고 자료분석을 거쳐 내년 2월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김산하 생명다양성재단 대표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연구결과가 향후 건강한 산림으로의 생태적 전환을 이끄는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다음글"국제사회와 한 약속…생물다양성 법 개정으로 실효성 높여야" 25.08.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