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국내외 인권, 노동, 사상, 종교, 약자, 육아, 기본소득, 소득불평등, 교육, 신분〮계급 형성, 따돌림, 영웅, 서열화, 재벌, 노숙자, 자원봉사자, 사기범죄, 폭력, 시민단체, 사단법인, 재단법인, 갑질, 을질(역갑질), 미투, 역미투, 공익환수 등에 관한 소식을 전합니다.
미디어협동조합 국민TV 계좌 : 기업은행 048-097250-04-019
"국내외 사회에 관련된 뉴스를 전합니다"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철거 저지 위한 공동대책위 발족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건물은 전쟁과 군사주의의 피해를 상징하는 우리나라의 근현대 역사 유적입니다. 그러나 지난해 2월 동두천시가 소요산 초입에 있는 옛 성병관리소 대지를 매입하고, 소요산 관광지 확대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며 성병관리소 건물의 철거를 예고한 바 있습니다. 성병관리소는 국가의 여성 인권침해 현장으로 보존해야 합니다.”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철거 저지를 위한 공대위 발족 기자회견 모습.
12일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서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철거 저지를 위한 시민사회단체>는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히고 공동대책위원회를 발족했다.
오는 9월 초 시의회에서 심의하는 동두천시 제2차 추경 예산안에 이 건물의 철거 비용을 포함했다. 아직껏 ‘소요산 관광지 확대 개발 사업’의 실시계획이나 공청회도 없이 철거부터 시작하려고 한다. 수천억원이 소요되는 관광지 개발 사업의 예산마련 수립 방안도 없다.
두 해 전인 2022년 9월 29일 대법원은 ‘기지촌 미군 위안부 국가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기지촌 성병관리소 운영이 정부 주도의 국가 폭력이었으며, 미군 ‘위안부’ 여성들이 그 폭력의 피해자라고 ‘역사적인’ 판결을 내렸다.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만들었으나 성병관리소의 반인권적이고 폭력적인 운영 실태는 국가배상 청구 소송에서 중요한 쟁점이었다.
70여년 전 한국전쟁 발발 이후에 광역시도 가운데 미군 기지촌이 가장 많았던 경기도는 총 6개 지역에서 성병관리소를 운영하였는데, 지금은 모두 없어지고 동두천시에만 유일하게 남아 있다. 동두천 성병관리소는 여성들을 강제 감금하고 페니실린을 과다 투약하여, 미군 ‘위안부’ 여성의 생명을 치명적으로 위협한 수용소이다. 이곳을 거쳐 간 수많은 미군 ‘위안부’ 여성들의 기억 속에 생생하게 살아있는 현실이다.
(02)3144-7737
Contact Us